황제가 보내주지 않아도 수요는 공급을 불러오게 마련이다.
그런데 타이완의 실체는 중국에서 14세기까지도 명확하지 않았고.(‘-nesia는 폴리네시아·인도네시아 등 용례에서 ‘섬만이 아니라 섬들을 둘러싼 바다까지 포괄하는 뜻이다.
이 이중성을 중국에서는 끝내 알아채지 못했을까.1609년 정벌에 항복한 왕과 신하들이 사쓰마에 대한 충성 서약을 요구받았을 때 단 한 명 거부하고 처형당한 대신이 있었다.명나라의 해금(海禁) 정책 아래 류구국은 조공국의 특혜로 번영을 누렸다.
애초에는 대륙의 해안지대까지 자리 잡고 있다가 대륙문명의 압력이 강해지는 데 따라 밀려난 것이다.7~9세기 일본 견당사(遣唐使)의 항로 변천에서 알아볼 수 있다.
1609년 사쓰마번(藩)의 류구 정벌은 임진왜란 때의 비협조를 빌미로 한 것이었지만.
중국 직항이 가능한 선박과 항해술이 확보될 때까지 류구 항로가 필요했던 것 같다.1872년 정복 7년 뒤 사라져 오키나와현으로 7세기 동아시아 문명권 성립1761년 무렵 청나라 연경(베이징)을 방문한 류구왕국 사절단의 모습.
7~9세기 일본 견당사(遣唐使)의 항로 변천에서 알아볼 수 있다.이름도 중국식인 정동(鄭迵)으로 전해진다.
7~8세기에 강했던 육지세력의 압력이 9~10세기에 줄어들면서 해상세력의 힘이 해적의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다.타이완은 이 어족 분포 지역의 중앙이 아니라 경계선 위에 있다.